본문 바로가기
산화질소

산화질소를 부족하게 만드는 구강청결제 - 산화질소 보충제

by 깨묭 2024. 6. 11.
반응형


 

 

구강위생을 위해 그리고 치아건강을 위해 사용하는 구강청결제, 

 

산화질소를 위해서라면 절대 사용하지 말라는 의사들의 경고!!

 

그 이유는 우리 몸에서 산화질소가 생기는 경로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산화질소가 생기는 또 다른 경로

 

다행스럽게도 산화질소는 우리가 섭취하는 샐러리, 시금치, 상추, 아보카도 같은 채소들을 통해서도 생기게 할 수 있습니다.

 

이들 채소들은 모두 질산염(NOз)이 풍부하다는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질산염에 답이 있습니다.

 

이 채소를 섭취하면 이 채소에 있는 질산염이 입안에서 효소와 박테리아에 의해서 아질산염(NO2)으로 전환됩니다.

 

아질산염(NO2)은 위에서 위산과 반응하여 산화질소로 전환되고 이 산화질소는 우리 몸에서 생성된 산화질소와 마찬가지의 효능을 발휘합니다. 

 

 

구강청결제는 입안의 효소와 박테리아를 죽입니다.

 

그러므로 구강청결제를 사용하면 질산염이 아질산염으로 전환되는 양이 줄어듭니다. 그렇게 되면 최종적으로 생기는 산화질소의 양도 줄어들게 됩니다.

 

채소들을 통해 생성되는 산화질소가 전체 산화질소 양의 25%를 차지하는데 구강청결제는 이 양을 훨씬 적게 만들어 산화질소를 부족하게 만듭니다.

 

이제 구강청결제를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를 이해하실 겁니다.

 

채소만으로는 부족한 산화질소를 보충할 수 없습니다.

 

그러면 부족한 산화질소를 비트와 같은 채소를 많이 먹으면 충분히 보충할 수 있지 않냐고 생각하시겠죠?

 

우리가 섭취한 질산염 중 소량만이 아질산염으로 전환되고 나머지는 장으로 가서 배출되기 때문에 음식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는 산화질소의 양은 많지 않습니다. 소 처럼 많이 먹지 않는 한 불가능합니다. 

 

독소도 함께 섭취하게 됩니다.

 

더구나 아무리 자연에서 온 식품이라 할지라도 나름의 독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섭취량이 많을수록 독소도 많이 섭취하게 됩니다.

 

산화질소를 많이 생기게 하려고 엄청나게 섭취한 채소류 때문에 몸 안에 독소가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산화질소를 직접 섭취하거나 바로 몸 안에 주입하는 방법은 없는 걸까요? 

단언할 수 있습니다. 

 


 

산화질소는 기체 형태의 분자이기 때문에 3초면 사라집니다. 3초면 사라지는 기체이기 때문에 산화질소 자체를 입으로 먹거나 몸밖에서 몸안으로 주입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산화질소대사체 고정화기술이 적용된 신작로 덕분에 산화질소를 보충할 수 있습니다. 아래를 클릭하여 신작로에 대해 알아보세요^^

 

반응형